2월, 2024의 게시물 표시

미취업 청년 증가 이유와 문제점. 청년들이 가고 싶은 일자리가 부족.

이미지
과거에는 청년 실업률이 9%~10%에 육박해서 우려가 컸습니다. 그러나 코로나 시기가 끝나고 나서 6%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수치로만 봐서는 청년 실업 상보이 굉장히 좋아 보입니다. 그러나 청년들 중에 식당이나 카페에서 일하는 취업자의 비중이 2013년 기준으로 대략 34만 명 정도였는데 2024년에는 56만여 명에 이릅니다. 이 기간 동안 청년 인구가 줄어들었는데, 카페나 식당에서 일하고 있는 청년의 수가 오히려 늘었습니다. 알바하는 게 아니라 직장에 있어야 되는데 우려스럽습니다. 그럼 미취업 청년이 증가하는 이유와 문제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참고자료 2024년 2월 16일 서울신문 2024년 2월 9일 SBS뉴스 2024년 1월 29일 서울경제 2023년 12월 6일 오마이뉴스 청년들의 미취업사유 청년들이 가고 싶은 일자리가 부족 중소기업 들어가면은 박봉 대기업으로 이직하기 어려움 청년 미취업이 고립/은둔 유발 청년들이 취업으로 인해서 겪는 스트레스가 굉장히 큰 수준입니다. 그러면 사회와 관계를 끊고 스스로 고립되어서 살아가고 있는 고립/은둔 청년들의 비중이 올라갑니다. 청년기에 취업의 어려움이 사회적 일탈행위로도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걱정이 됩니다. 청년들이 일을 못하면 국가에서 생산이 줄어드니까 GDP가 줄어들기도 합니다. 다음은 보건복지부가 추산한 청년들이 은둔하는 이유입니다. 취업: 24.1% 대인관계: 23.5% 가족관계: 12.4% 건강: 12.4% 학업: 10.4% 폭력, 괴롭힘: 6.5% 청년들의 자립이 저출산 문제해결의 핵심이라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취업 연령이 높아지면 자립하는 나이도 늦어집니다. 다음은 한국은행 보고서에 나오는 취업기간과 결혼과의 관계입니다. 대학 입학 후 첫 취업까지 기간: 2007년 56개월 대학 입학 후 첫 취업까지 기간: 2022년 63개월 남녀 초혼 연령: 2007년 29.5세 남녀 초혼 연령: 2022년 33.5세 기업들의 인력난 현황 다음은 고용노동부에서 발표한 중소기업의 인력 미충원 현황입니다. ...

1인가구 통계. 미래의 나의 모습?

이미지
  우리나라는 세 집 중 한 집 넘게 1인가구입니다. 2022년 기준으로 전체 가구의 34.5% 비중입니다. 처음 30%를 넘어선 2019년 이후 굉장히 속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우려스럽네요. 그런데 통계청이 우리나라의 2022년 1인 가구 실태 집계를 내놨습니다.(최신 자료인 것 같습니다) 현황이 어떤지 같이 보시겠습니다. 머지않은 나의 모습일 수도 있습니다. 참고자료 2023년 12월 13일 SBS뉴스 2023년 12월 3일 한국보험신문 2023년 12월 3일 위키트리 나이에 따른 1인가구 비율 나이 별로 보면 나홀로 사는 청년들의 비중이 확실히 높습니다. 1인 가구 중에 가장 비중이 높은 집단은 20~29세까지의 청년들입니다.(19.2%) 그 다음이 70세 이상입니다.(18.6%) 3위 또 30대입니다.(17.3%) 성별에 따른 1인가구 비율 30대에서 남성은 22% 여성은 12.7%만 혼자 살아서 남녀 차이가 뚜렷하게 보입니다. 이렇게 1인 가구는 50대까지는 쭉 남성 비중이 더 높습니다. 하지만 60대에 처음으로 여성 비중이 더 높아지기 시작해서 70세 이상 여성은 29.7%가 혼자 사는 급격한 증가를 보입니다. 독거노인은 많은 경우 여성입니다 1인가구의 경제력 경제적으로 취약한 사람들도 1인 가구에 많이 몰려있습니다. 혼자 살면서 세전소득이 1억 원을 넘는 사람은 750만 1인 가구 중에서 2%(15만 명 정도) 7000만 원에서 1억 원 사이도 4.3%(32만 명을 좀 넘는 정도) 102제곱미터(31평)가 넘는 집에 혼자 사는 경우도 2.6% 절대적인 숫자로는 적다고만은 할 수 없네요. 그러나 1인 가구 중에서도 소수에 속합니다. 1인 가구 5명 중에 3명 이상은 연 소득이 3000만 원 미만입니다. 현실은 이렇습니다. 1억원 이상: 2.0% 7천만 원 ~ 1억원: 2.0% 5천만 원 ~ 7천만 원: 9.8% 3천만 원 ~ 5천만 원: 22.7% 1천만 원 ~ 3천만 원: 44.5% 1천만 원 미만: 16.8% 청년 1인 가구들은...